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Photo by nrd / Unsplash

통계청이 매월 발표하는 소비자물가동향이 지난주 공개됐습니다. 발표 직후 언론은 “물가가 심각하게 올랐다”는 제목을 앞다퉈 내걸었고, 시민들의 한숨은 더 깊어졌습니다. 이번 달 기사 속 주인공은 쌀과 라면이었지만, 지난달과 그 전 달을 떠올리면 주인공은 늘 달라졌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달의 주인공은 정말 그 자리에 어울렸을까요?


주인공 선발기준

8월 5일 발표된 <2025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달보다 2.1% 올랐습니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는 3.5% 상승했고, 쌀은 7.6%, 라면은 6.5% 올랐습니다.

이 수치만 보면 쌀과 라면이 유독 많이 오른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전년동월대비라는 기준이 숨어 있습니다. 지난해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면 올해 소폭 올라서도 상승률이 크게 보이고, 반대로 지난해 이미 급등했다면 올해는 가격이 낮아진 것처럼 착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5,000원이던 품목이 올해 5,500원이 되면 10% 오른 것입니다. 하지만 3년 전 가격이 6,000원이었다면, 여전히 예전보다 저렴한 상태입니다. 같은 10% 상승이라도, 출발선이 어디였는지에 따라 전혀 다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주인공이 된 이유를 알려면, 먼저 그들이 어떤 기준에서 뽑혔는지부터 봐야 합니다.


커튼 뒤의 이야기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 가격을 100으로 놓고 계산됩니다. 이를 기준으로 2025년 7월 지수를 보면, 쌀은 107.9, 라면은 123.9입니다.

흥미로운 건, 뉴스의 단골손님이었던 사과(172.9)와 배(169.0)가 훨씬 높은 수준임에도 이번 달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전년보다 가격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출처: 통계청

언론은 매달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을 헤드라인에 올립니다. 그 결과 가격 지수가 높더라도 하락한 품목은 무대 뒤로 사라지고, 전년 대비 상승률이 높은 품목이 ‘이번 달 주인공’이 됩니다. 이 구조는 매달 물가 보도에서 주인공이 바뀌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무대 위의 조명은 눈부시지만, 진짜 이야기는 커튼 뒤에 숨어 있습니다.


감독의 세 가지 시선

물가 뉴스를 볼 때, 숫자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보다 다음 세 가지를 확인해보면 훨씬 입체적인 해석이 가능합니다.

  1. 변동률과 지수를 함께 보기
    변동률이 높더라도 지수가 낮으면 가격 수준이 낮을 수 있고, 변동률이 낮더라도 지수가 높으면 생활비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쌀의 지수가 107.9인데 7.6% 올랐다는 것과, 사과의 지수가 172.9인데 11.0% 내렸다는 것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2. 비교 기준 확인하기
    물가 변동률을 볼 때는 그 수치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한 것인지, 전월과 비교한 것인지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전년동월대비는 계절적 변동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지만, 전월대비는 계절과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아 일시적인 변동이 과장될 수 있습니다. 특히 농산물이나 에너지처럼 기온·강수량·계절 수요에 따라 가격이 크게 출렁이는 품목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3. 품목별 흐름을 같이 보기
    이번 달에는 쌀과 라면이 주목받았지만, 지난달엔 고등어, 그 전에는 돼지고기가 ‘물가 주인공’이었습니다. 품목별 가격은 계절·공급 상황·수요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오르내리기 때문에, 한 달치 변동만으로 생활비 부담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상승·하락 품목을 함께 비교하면 전체 물가 흐름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무대 위 장면이 아닌, 이야기 전체를 보는 것이 감독의 역할입니다.


우리는 묻습니다

  • 물가 뉴스 속 ‘주인공’은 정말 우리 지갑을 압박한 주범일까요?
  • 아니면, 통계의 한계와 보도의 선택이 만든 주인공일까요?

이번 달의 스포트라이트가 진짜 무대를 대표하는지, 아니면 단 한 장면의 연출에 불과한지 우리는 질문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쌀과 라면이 무대에서 내려가도, 다음 달 새로운 ‘주인공’이 등장할 때 또다시 반복될 것입니다.


우리는 ‘정리된 뉴스’가 아닌 ‘사유의 도구’를 전하고자 합니다. 웬즈데이터는 데이터 저널리즘이 단순한 시각화가 아닌, 복잡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고 믿습니다. 데이터로 세상을 읽는 수요일, 웬즈데이터와 함께하세요.

지금 구독하고, 데이터로 생각하는 사람의 목록에 합류하세요.

Read more

세어보지 않았던 것들

세어보지 않았던 것들

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고향을 찾을 계획을 세우거나, 짧은 여행을 고민하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매주 혼란스러운 사회 이슈를 따라가던 웬즈데이터지만, 이번 주만큼은 조금 다른 시선으로 삶을 들여다보려 합니다. 쉬는 날이 기다려지는 이 시기, 숫자로 삶을 되돌아보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보내고 있는 시간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생명표에 따르면, 한국인 전체의 기대수명은 83.

우리는 왜 서울이어야만 할까

우리는 왜 서울이어야만 할까

서울 집중과 지방 소멸. 너무 많이 들어서 이제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말입니다. 하지만 최근 20년간의 인구이동 데이터를 보면, 이 흐름은 단순한 일시적 경향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조를 규정해온 기반임을 보여줍니다. 지난주 발행된 통계청의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 보도자료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19~34세 청년층은 단 한 해도 빠짐없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되었습니다. 일자리를

오늘도 뛰지 못한 당신에게

오늘도 뛰지 못한 당신에게

요즘 강변이나 공원을 걷다 보면 러닝을 하는 사람들을 쉽게 마주칩니다. 하루 5km를 꾸준히 뛴다는 직장 동료도 있고, 하프 마라톤을 준비 중이라는 친구도 있습니다. 피트니스 앱은 ‘월간 러닝 거리 순위’를 보여주고, SNS에는 아침 러닝 인증샷이 차곡차곡 쌓입니다. 이쯤 되면 마음이 동합니다. “나도 한번 뛰어볼까?” 동시에 머릿속은 복잡해집니다. 지금 이 상태로

존2 러닝은 무엇인가?

존2 러닝은 무엇인가?

러너들이 자주 말하는 ‘존2(Zone 2) 러닝’은 심박수 기반 훈련 구간 중 하나입니다. 전체를 다섯 단계로 나눴을 때 존2는 비교적 낮은 강도지만, 긴 시간 지속할 수 있어 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흔히 “달리면서 대화가 가능한 정도”라고 설명됩니다. 존2 범위를 정하는 핵심은 최대심박수를 어떻게 계산하느냐입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방식은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