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국 기준금리는 '범위'일까?

왜 미국 기준금리는 '범위'일까?
Photo by Mathieu Stern / Unsplash

한국의 기준금리는 하나의 숫자로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3.5%”처럼요. 그런데 미국은 다릅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5.25%에서 5.50%로 유지했다”는 식으로 두 개의 숫자, 즉 범위로 발표합니다. 왜 이렇게 다를까요?

미국은 기준금리를 단일 수치로 고정하기보다는, 시장의 움직임에 따라 금리가 자연스럽게 결정되도록 유도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연준이 목표로 삼는 금리는 은행들끼리 하루 동안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단기 금리인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입니다. 이 금리는 시장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연준은 특정 수치를 딱 정하는 대신 “이 정도 범위 안에서 움직이게 하겠다”는 식의 정책 방향을 제시합니다.

이런 방식이 사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장 자율성 유지
    정부가 금리를 직접 통제하지 않고, 시장 참여자들이 자율적으로 금리를 결정하도록 유도합니다.
  2. 운영의 유연성 확보
    정해진 수치 하나보다 범위를 설정하면, 경기 변화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사실 미국도 처음부터 이런 방식을 쓴 것은 아닙니다. 예전에는 기준금리를 하나의 숫자로 발표했습니다. 지금처럼 범위로 운용하기 시작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입니다. 당시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0%에 가깝게 낮췄고, 단일 수치만으로는 정책 여지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때 처음 “0.00~0.25%”처럼 범위로 제시하는 방식이 도입됐고, 이후 시장과의 소통 수단이자 정책 유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자리 잡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한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은 여전히 하나의 수치만 정할까요? 그건 금융시장 구조의 차이 때문입니다. 미국은 금융시장이 크고 복잡해서 시장 기반의 운용 방식이 잘 작동합니다. 반면 한국처럼 자금시장 규모가 작고 거래가 제한적인 경우에는 중앙은행이 명확한 기준금리를 제시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입니다.

결국 어떤 방식을 쓰느냐는 각국의 시장 구조와 정책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미국은 유연성과 자율성을, 한국은 명확성과 안정성을 선택한 셈입니다.

Read more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통계청이 매월 발표하는 소비자물가동향이 지난주 공개됐습니다. 발표 직후 언론은 “물가가 심각하게 올랐다”는 제목을 앞다퉈 내걸었고, 시민들의 한숨은 더 깊어졌습니다. 이번 달 기사 속 주인공은 쌀과 라면이었지만, 지난달과 그 전 달을 떠올리면 주인공은 늘 달라졌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달의 주인공은 정말 그 자리에 어울렸을까요? 주인공 선발기준 8월 5일 발표된 <2025년

국장은 정말 바보의 선택일까

국장은 정말 바보의 선택일까

돈과 관련된 뉴스는 민감하게 반응을 일으킵니다. 그중에서도 세금은 논쟁을 피할 수 없는 주제입니다. 지난주 발표된 세제개편안 역시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종목당 50억원 이상을 보유한 주식을 가진 사람에게만 부과되던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을, 다시 10억원 이상으로 낮추겠다는 정부의 발표에 투자자들은 크게 반발했습니다. "어느 바보가 국장에 투자하겠냐"는 말이 담긴 기사가 연일

유튜브 뮤직이 넘은 선

유튜브 뮤직이 넘은 선

2025년 7월, 유튜브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포함된 유튜브 뮤직이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 따라, 자진 시정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음악 서비스를 제외한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출시를 예고한 것도 이 맥락에서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방식의 결합상품은 이전부터 멜론이나 지니뮤직에도 적용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시장 1위를 유지할 때는 별다른 제재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지금,

증권사의 목표주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증권사의 목표주가, 어떻게 읽어야 할까

뉴스를 보다 보면 같은 종목에 대해서도 증권사마다 전혀 다른 전망을 내놓는 걸 종종 보게 됩니다. 최근 SK하이닉스의 경우도 그랬습니다. 골드만삭스는 HBM 가격 하락을 이유로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고, 국내 증권사들은 35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낙관적 리포트를 내놓았습니다. * SK하이닉스 주가폭락 촉발한 골드만…"내년에 처음으로 HBM 가격 하락" * SK하이닉스 35만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