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수요일, 데이터로 세상을 읽다.

매주 수요일, 데이터로 세상을 읽다.
Photo by Isaac Smith / Unsplash

세상을 설명하는 언어, 데이터

우리는 넘치는 뉴스와 말들 속에서 ‘사실’이 빠진 채 감정만 남는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말보다 명확하고 흔들림 없는 언어가 있습니다. 바로 ‘데이터’입니다. 데이터는 편을 들지 않고, 상황을 왜곡하지 않으며, 우리가 놓친 구조를 조용히 보여줍니다. 웬즈데이터는 그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비교하고, 시각화하여 지금의 한국 사회를 설명하려고 합니다.


웬즈데이터는 무엇을 전할까요?

웬즈데이터는 매주 수요일, 한국 사회의 이슈를 ‘데이터 시각화’로 해석하는 뉴스레터입니다. 정쟁으로 흐려진 담론 속에서 중요한 수치가 가려지고, 구조적 문제는 개인의 책임으로만 치환됩니다. 웬즈데이터는 그런 흐름을 거슬러, 데이터에 근거한 통찰을 전하려 합니다. 수많은 주장 속에서 "무엇이 진짜 사실인가?", "이 수치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구조는 무엇인가?"를 묻는 것이 웬즈데이터의 시작점입니다.

📆
왜 수요일인가요?
주초의 혼란이 가라앉고, 다음 주를 준비하기 전의 틈. 수요일은 생각하기에 가장 적당한 시점입니다. 웬즈데이터는 매주 수요일, 데이터라는 언어로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합니다.

다루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웬즈데이터는 정치, 행정, 노동, 고용, 가족, 환경, 기후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룹니다.
예를 들어:

  • 청년 예산은 줄고, 노인 복지는 늘고 있다?
  • 근로시간 단축은 누구를 위한 정책일까요?
  •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 탄소세 도입, 누구에게 가장 큰 부담일까요?

우리는 묻지 않습니다, '누가 옳은가?' 우리는 묻습니다, '무엇이 사실인가?'
웬즈데이터는 주장을 덜어내고 구조를 보여줍니다. 숫자가 말하는 사회의 맥락을 그래프로 펼쳐 보이며, 이해를 위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우리는 ‘정리된 뉴스’가 아닌 ‘사유의 도구’를 전하고자 합니다. 웬즈데이터는 데이터 저널리즘이 단순한 시각화가 아닌, 복잡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고 믿습니다. 데이터로 세상을 읽는 수요일, 웬즈데이터와 함께하세요.

지금 구독하고, 데이터로 생각하는 사람의 목록에 합류하세요.

Read more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통계청이 매월 발표하는 소비자물가동향이 지난주 공개됐습니다. 발표 직후 언론은 “물가가 심각하게 올랐다”는 제목을 앞다퉈 내걸었고, 시민들의 한숨은 더 깊어졌습니다. 이번 달 기사 속 주인공은 쌀과 라면이었지만, 지난달과 그 전 달을 떠올리면 주인공은 늘 달라졌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달의 주인공은 정말 그 자리에 어울렸을까요? 주인공 선발기준 8월 5일 발표된 <2025년

국장은 정말 바보의 선택일까

국장은 정말 바보의 선택일까

돈과 관련된 뉴스는 민감하게 반응을 일으킵니다. 그중에서도 세금은 논쟁을 피할 수 없는 주제입니다. 지난주 발표된 세제개편안 역시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종목당 50억원 이상을 보유한 주식을 가진 사람에게만 부과되던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을, 다시 10억원 이상으로 낮추겠다는 정부의 발표에 투자자들은 크게 반발했습니다. "어느 바보가 국장에 투자하겠냐"는 말이 담긴 기사가 연일

유튜브 뮤직이 넘은 선

유튜브 뮤직이 넘은 선

2025년 7월, 유튜브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포함된 유튜브 뮤직이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 따라, 자진 시정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음악 서비스를 제외한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출시를 예고한 것도 이 맥락에서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방식의 결합상품은 이전부터 멜론이나 지니뮤직에도 적용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시장 1위를 유지할 때는 별다른 제재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지금,

증권사의 목표주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증권사의 목표주가, 어떻게 읽어야 할까

뉴스를 보다 보면 같은 종목에 대해서도 증권사마다 전혀 다른 전망을 내놓는 걸 종종 보게 됩니다. 최근 SK하이닉스의 경우도 그랬습니다. 골드만삭스는 HBM 가격 하락을 이유로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고, 국내 증권사들은 35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낙관적 리포트를 내놓았습니다. * SK하이닉스 주가폭락 촉발한 골드만…"내년에 처음으로 HBM 가격 하락" * SK하이닉스 35만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