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는 어떻게 계산될까?

GDP는 어떻게 계산될까?
Photo by micheile henderson / Unsplash

뉴스에서 “올해 GDP 성장률은 몇 퍼센트”,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했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이 GDP는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요? 그리고 무엇이 늘어나야 ‘좋은 성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는 한 나라의 경제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을 말합니다. 즉, 나라 안에서 돈이 얼마나 돌았는지를 숫자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제 지표입니다. 계산 방식에는 생산, 소득, 지출 접근법이 있지만, 뉴스에서 가장 자주 쓰이는 방식은 지출 접근법입니다.

지출 접근법에 따르면 GDP는 민간소비(C), 민간투자(I), 정부지출(G), 순수출(X–M)을 더해 계산합니다.

GDP = 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수출 – 수입)

여기서 소비는 가계가 쓰는 돈, 투자는 기업이 생산설비 등에 투자한 비용, 정부지출은 공공부문 예산, 순수출은 해외로부터 벌어들인 돈에서 수입을 뺀 값입니다. 이 수식에서 눈에 띄는 항목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정부지출입니다.

정부는 필요에 따라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해 재정을 더 풀 수 있고, 그 돈이 공공사업이나 지원금 형태로 쓰이면 GDP 수치는 당연히 증가하게 됩니다. 지출이 늘었으니 계산상 ‘성장’한 셈이죠. 그래서 경제가 둔화될 조짐이 보일 때마다 정부는 추경을 통해 성장을 보완하려는 시도를 하곤 합니다.

데이터 출처: 기획재정부

하지만 GDP가 올라갔다고 해서 체감 경기가 나아졌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GDP는 어디에서 얼마나 돈이 쓰였는지를 보여줄 뿐, 그 지출이 실제 경제 활력으로 이어졌는지는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단기적인 지출 확대는 숫자를 일시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지만, 그것이 민간 소비나 생산 투자로 이어지지 않으면 일회성 효과에 그칠 수 있습니다.

GDP는 여전히 중요한 지표입니다. 다만 그 숫자가 무엇에서 비롯되었는지, 얼마나 지속 가능한 흐름인지 함께 봐야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성장률이라는 숫자만큼, 그 안의 구성도 같이 읽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Read more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이번 달 물가 주인공은 나야 나

통계청이 매월 발표하는 소비자물가동향이 지난주 공개됐습니다. 발표 직후 언론은 “물가가 심각하게 올랐다”는 제목을 앞다퉈 내걸었고, 시민들의 한숨은 더 깊어졌습니다. 이번 달 기사 속 주인공은 쌀과 라면이었지만, 지난달과 그 전 달을 떠올리면 주인공은 늘 달라졌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달의 주인공은 정말 그 자리에 어울렸을까요? 주인공 선발기준 8월 5일 발표된 <2025년

국장은 정말 바보의 선택일까

국장은 정말 바보의 선택일까

돈과 관련된 뉴스는 민감하게 반응을 일으킵니다. 그중에서도 세금은 논쟁을 피할 수 없는 주제입니다. 지난주 발표된 세제개편안 역시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종목당 50억원 이상을 보유한 주식을 가진 사람에게만 부과되던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을, 다시 10억원 이상으로 낮추겠다는 정부의 발표에 투자자들은 크게 반발했습니다. "어느 바보가 국장에 투자하겠냐"는 말이 담긴 기사가 연일

유튜브 뮤직이 넘은 선

유튜브 뮤직이 넘은 선

2025년 7월, 유튜브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포함된 유튜브 뮤직이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에 따라, 자진 시정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음악 서비스를 제외한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출시를 예고한 것도 이 맥락에서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방식의 결합상품은 이전부터 멜론이나 지니뮤직에도 적용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시장 1위를 유지할 때는 별다른 제재가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지금,

증권사의 목표주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증권사의 목표주가, 어떻게 읽어야 할까

뉴스를 보다 보면 같은 종목에 대해서도 증권사마다 전혀 다른 전망을 내놓는 걸 종종 보게 됩니다. 최근 SK하이닉스의 경우도 그랬습니다. 골드만삭스는 HBM 가격 하락을 이유로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고, 국내 증권사들은 35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낙관적 리포트를 내놓았습니다. * SK하이닉스 주가폭락 촉발한 골드만…"내년에 처음으로 HBM 가격 하락" * SK하이닉스 35만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