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숫자를 향한다
우리는 '젊은 세대가 미래를 결정한다'는 말에 익숙합니다. 하지만 통계는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2025년 6월 현재, 60세 이상 유권자는 이미 20·30대 유권자 수를 앞질렀습니다. 그리고 이 격차는 앞으로 더 벌어질 것입니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도 이 인구 구조는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이제 정치인은 “인구가 많은 쪽”을 향해 정책을 설계할 수밖에 없습니다. 유권자가 많은 곳에 예산이 몰리고, 표가 나오는 곳에 공약이 쏠리는 건 정치의 자연스러운 원리입니다.
정치는 숫자를 향합니다. 그리고 그 숫자는 이제 노년에 있습니다.
숫자가 말하는 미래
2025년 기준, 60세 이상 유권자는 전체의 약 33%를 차지합니다. 반면 20대와 30대를 합쳐도 약 29% 수준입니다. 이 수치는 곧 선거 전략의 무게추가 어디로 기울 수밖에 없는지를 말해줍니다. 고령층 유권자의 비율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합니다. 통계청 인구 추계에 따르면, 2035년에는 60세 이상 유권자가 전체의 43%를 넘길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령 유권자 중심의 정치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죠.

- 2030년 대선: 60세 이상 유권자가 20대·30대를 합친 수보다 약 490만 명 많아짐
- 2045년 대선: 60세 이상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50%를 넘김
이 숫자는 정치가 누구를 우선순위로 둘 수밖에 없는지를 말해줍니다. 투표율 또한 고령층에서 꾸준히 높게 나타나면서, 정치권은 고령 유권자의 요구와 정서를 반영하는 데 더 민감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숫자는 현재를 기록하는 수단이지만, 동시에 미래를 예고하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인구 피라미드의 기울기는 정치의 무게중심을 점점 고령층 쪽으로 당기고 있습니다. 이것은 투표의 숫자가 곧 정책의 숫자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정치적 결정권은 이제 고령층이 가지고 있습니다.
2030, 방향을 찍다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의 최종 투표율은 79.4%로, 지난 대선(2022년 77.1%)보다 상승했습니다. 이 상승세는 특히 20대와 30대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출구조사 결과에서 20대 유권자의 24.3%, 30대 유권자의 17.7%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 기준으로 보면, 이준석 후보는 2030 세대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은 후보였습니다. 이는 40대 이상 연령층의 지지율이 5% 미만에 머문 것과 대조적입니다.

2030 세대 일부는 이번 선거에서 이준석 후보에게 투표하는 행위를 통해 당선 가능성과는 무관하게 자신의 정치적 의지와 세대 정체성을 드러내려 했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이 후보는 선거 기간 동안 노령층 중심의 정책 결정을 비판하고, 연금 개혁과 세대 형평성을 주장하며 청년층의 문제를 공론화했습니다.
비록 1위 후보와의 격차는 컸지만, 득표 그 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누가, 왜 그를 찍었는가'라는 맥락입니다.
2030 세대의 투표는 점점 더 정치적 메시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정치권은 이 변화의 흐름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습니다.
젊은 표는 여전히 작지만, 이제는 분명히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묻습니다
- 유권자 수가 정책 방향을 좌우해도 괜찮은가요?
- 청년의 표가 줄어들수록, 그들의 삶을 위한 정책은 사라질까요?
- 우리는 ‘공정한 분배’를 이야기하지만, 실제 분배는 인구수로 결정되는 건 아닐까요?
함께 보기

우리는 ‘정리된 뉴스’가 아닌 ‘사유의 도구’를 전하고자 합니다. 웬즈데이터는 데이터 저널리즘이 단순한 시각화가 아닌, 복잡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고 믿습니다. 데이터로 세상을 읽는 수요일, 웬즈데이터와 함께하세요.
지금 구독하고, 데이터로 생각하는 사람의 목록에 합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