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min read

쇠고기와 소고기, 뭐가 맞을까?

쇠고기와 소고기, 뭐가 맞을까?
Photo by Sergey Kotenev / Unsplash

‘쇠고기’와 ‘소고기’, 둘 다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쓰이는 표현입니다.
하지만 맞춤법 사전에서 두 단어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금 다른 이야기가 나옵니다.


표준어는 ‘쇠고기’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쇠고기’를 표준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소’에 고기 ‘고기’를 붙인 말이지만, 중세국어 시기부터 ‘ㅅ’이 ‘ㅗ’와 결합해 ‘쇠’로 발음되는 형태가 굳어졌기 때문입니다.

즉, ‘쇠고기’는 역사적 변화가 반영된 형태이고, 문법적으로도 ‘소고기’보다 먼저 자리 잡은 표준어입니다.


그런데 왜 ‘소고기’가 더 익숙할까?

일상에서는 ‘소고기’가 더 자주 쓰입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쇠’ 발음이 낯설게 느껴지고, ‘소’가 가축 이름으로 직관적이기 때문입니다. 언론 기사나 메뉴판에서도 ‘소고기’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면서, 사실상 비표준어이지만 통용되는 표현이 되었죠.

국립국어원도 이에 대해 “일상적 쓰임에서는 ‘소고기’도 의미 전달에 무리가 없어 병기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언어는 규범보다 습관입니다

‘쇠고기’가 맞고 ‘소고기’가 틀리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언어는 사람들이 쓰는 방식에 따라 변하고, 결국 익숙함이 새로운 규범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웬즈데이터는 문맥에 따라 ‘소고기’를 사용합니다. 독자가 가장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는 언어가, 결국 가장 정확한 언어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