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뛰지 못한 당신에게

오늘도 뛰지 못한 당신에게
Photo by Filip Mroz / Unsplash

요즘 강변이나 공원을 걷다 보면 러닝을 하는 사람들을 쉽게 마주칩니다. 하루 5km를 꾸준히 뛴다는 직장 동료도 있고, 하프 마라톤을 준비 중이라는 친구도 있습니다. 피트니스 앱은 ‘월간 러닝 거리 순위’를 보여주고, SNS에는 아침 러닝 인증샷이 차곡차곡 쌓입니다.

이쯤 되면 마음이 동합니다. “나도 한번 뛰어볼까?” 동시에 머릿속은 복잡해집니다. 지금 이 상태로 뛰어도 괜찮을까, 이 신발로 충분할까, 정말 효과가 있을까.

정보는 넘치는데 발걸음은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결국 우리는 익숙한 질문 앞에 다시 서게 됩니다.
“진짜, 달리면 살이 빠질까?”


살을 빼려면 몇 km를 뛰어야 하나요?

러닝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체중 감량에 분명한 도움이 있습니다. 가장 단순한 계산식은 이렇습니다. 1km를 달리면 체중 1kg당 약 1kcal를 소모한다.

60kg인 사람이라면 1km에 약 60kcal, 5km는 300kcal, 10km는 600kcal 정도를 쓰게 됩니다. 체지방 1kg을 줄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약 7,700kcal로 알려져 있으니, 단순 계산만 보면 하루 5km씩 달려 한 달에 1kg 내외의 감량도 가능해 보입니다.

물론 이 수치는 근사치입니다. 실제 변화 속도는 체질, 식습관, 수면, 스트레스, 일상 활동량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그래서 러닝량을 주 단위로 마일리지를 얼마나 꾸준히 쌓느냐가 현실적 결과를 좌우합니다.

다만 숫자를 알고 나면 자연스럽게 다음 질문이 떠오릅니다. “그럼 내가 오늘 먹은 칼로리를 소모하려면 얼마나 뛰어야 할까?” 이 감각을 한 번 거리로 바꿔 보겠습니다.


먹은 만큼 뛰면 정말 될까요?

달리기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사람들은 식사와 운동을 등가처럼 계산하곤 합니다. “오늘 떡볶이를 먹었으니 3km는 뛰어야지.” 혹은 반대로 “5km를 뛰었으니 저녁에 치킨을 먹어도 괜찮지 않을까?” 같은 식으로요.

그 계산,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체중 60kg 기준으로 우리가 흔히 먹는 음식들을 러닝 거리로 환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 끼 식사를 ‘지우기 위해’ 달려야 할 거리는 생각보다 깁니다. 그래서 운동을 먹은 만큼의 로 삼기 시작하면 금세 지치기 마련입니다.

꾸준함은 의무감에서 오지 않습니다. 음식을 상쇄하기 위해 억지로 뛰는 것이 아니라, 러닝 자체가 생활의 일부가 될 때 비로소 이어집니다.


정답보다 먼저 필요한 건 용기입니다

달리기에 대한 정보를 검색해 보면 미드풋 착지, 존2 심박, 공복 러닝, 러닝화 쿠셔닝 비교처럼 ‘정답’처럼 보이는 조언이 끝없이 이어집니다. 그럴수록 우리는 ‘어떻게 해야 잘하는 걸까’라는 고민만 늘어납니다.

하지만 실제로 꾸준히 달리는 사람들은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중요한 건 속도나 자세보다 그냥 나가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달리기를 이어 간 사람들은 종종 이렇게 덧붙입니다. 식욕이 정돈되고, 수면의 질이 좋아지고,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차분해졌다고요.

러닝은 칼로리를 줄이는 운동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먼저 하루의 구조와 리듬을 바꾸는 계기가 됩니다. 그래서 속도나 자세의 정답보다 오늘 신발을 신고 문을 나서는 선택이 더 결정적입니다.

러닝은 완벽히 알아서 시작하는 게 아니라, 시작해서 배우는 일입니다.


우리는 자꾸 묻습니다

  • 이렇게 뛰어도 괜찮을까?
  • 이 속도로 효과가 있을까?
  • 공복이 나을까, 식후가 나을까?
  • 지금 나가면 너무 덥지 않을까?

이 질문들은 모두 타당합니다. 하지만 질문이 많아질수록, 그만큼 멈출 이유도 많아집니다.

그러니 오늘만큼은,
아무것도 묻지 말고 나가보는 건 어떨까요.


함께 보기

존2 러닝은 무엇인가?
러너들이 자주 말하는 ‘존2(Zone 2) 러닝’은 심박수 기반 훈련 구간 중 하나입니다. 전체를 다섯 단계로 나눴을 때 존2는 비교적 낮은 강도지만, 긴 시간 지속할 수 있어 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흔히 “달리면서 대화가 가능한 정도”라고 설명됩니다. 존2 범위를 정하는 핵심은 최대심박수를 어떻게 계산하느냐입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방식은 220

우리는 ‘정리된 뉴스’가 아닌 ‘조용한 동기’를 전하고자 합니다. 웬즈데이터는 데이터가 단지 정보를 넘어, 삶의 균형을 회복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데이터로 세상을 읽는 웬즈데이터와 함께하세요.

매주 수요일, 무언가를 시작하고 싶은 당신 곁에 있겠습니다.

Read more

세어보지 않았던 것들

세어보지 않았던 것들

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고향을 찾을 계획을 세우거나, 짧은 여행을 고민하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매주 혼란스러운 사회 이슈를 따라가던 웬즈데이터지만, 이번 주만큼은 조금 다른 시선으로 삶을 들여다보려 합니다. 쉬는 날이 기다려지는 이 시기, 숫자로 삶을 되돌아보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보내고 있는 시간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생명표에 따르면, 한국인 전체의 기대수명은 83.

우리는 왜 서울이어야만 할까

우리는 왜 서울이어야만 할까

서울 집중과 지방 소멸. 너무 많이 들어서 이제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말입니다. 하지만 최근 20년간의 인구이동 데이터를 보면, 이 흐름은 단순한 일시적 경향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조를 규정해온 기반임을 보여줍니다. 지난주 발행된 통계청의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 보도자료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19~34세 청년층은 단 한 해도 빠짐없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되었습니다. 일자리를

존2 러닝은 무엇인가?

존2 러닝은 무엇인가?

러너들이 자주 말하는 ‘존2(Zone 2) 러닝’은 심박수 기반 훈련 구간 중 하나입니다. 전체를 다섯 단계로 나눴을 때 존2는 비교적 낮은 강도지만, 긴 시간 지속할 수 있어 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흔히 “달리면서 대화가 가능한 정도”라고 설명됩니다. 존2 범위를 정하는 핵심은 최대심박수를 어떻게 계산하느냐입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방식은 220

내가 낸 만큼, 나중에 받을 수 있을까

내가 낸 만큼, 나중에 받을 수 있을까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우리는 매달 꼬박꼬박 보험료를 냅니다. ‘노후의 안전망’이라 불리는 이 제도들은 국가가 약속한 최소한의 보장입니다. 하지만 요즘 뉴스에서는 “기금 고갈”, “재정 위기” 같은 표현이 낯설지 않습니다. 나는 지금 열심히 내고 있는데, 과연 나중에 받을 수 있을까? 내가 낸 만큼 돌려받기만 하면 되는 것 아닐까? 왜 내 노후는